본문 바로가기

2025년 앞으로의 금값 시세 전망 3000달러 돌파 가능성 상승 이유들

머니위키. 2025. 2. 7.
반응형

2025년 금값전망

2024년 금 가격은 연간 27.2% 상승하며, S&P 500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2025년 들어 금값은 다시 급등하며 온스당 2,890달러에 근접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월가의 주요 투자은행들인 JP모건, 골드만삭스, 시티그룹 등은 3,000달러 돌파 전망을 유지하고 있으며, 6주 연속 상승 흐름 속에서 올해 상반기 중 3,000달러를 돌파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습니다.

금값 상승 이유

정치적 불확실성

미국 대선 이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및 규제 완화 조치가 경제에 미칠 영향이 불확실합니다. 중동 지역 갈등,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지속 등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질수록, 전세계 자산가들은 안전자산인 금괴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글로벌 금융 위기, 팬데믹, 지정학적 갈등 시기마다 금값이 강세를 보였던 역사가 반복되고 있습니다.

중앙은행 금매입

2022년 러우 전쟁 이후, 미국의 러시아 자산 동결 조치로 인해 여러 국가들이 달러보다 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졌습니다. 중국을 비롯한 비서방 국가들의 금 보유량 증가가 금 수요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금리인하 기대감

연준의 금리 정책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올해 최소 한 차례 금리 인하가 예상됩니다. 금리는 낮아지고 채권 수익률이 하락하면, 금과 같은 안전자산에 대한 투자 매력이 증가합니다.

실물 금 수요 증가

런던에서 뉴욕으로 대량의 금괴가 이동하며, 뉴욕 상품거래소(COMEX) 금 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한 달 동안 뉴욕에 유입된 금괴만 244톤으로, 2020년 팬데믹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개인 금고 및 은행 프라이빗 뱅킹을 통한 금 보유 증가 추세도 지속되고 있는데, 실제로 런던 금 임대 금리가 0%에서 4.7%까지 급등하며 금괴를 보유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ETF나 디지털 금이 아닌 실물 금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이유는 ‘관세 리스크’ 때문입니다. 만약 금에도 수입 관세가 부과된다면, 미리 실물 금괴를 보유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올해 2월 한국조폐공사가 금 원자재 수급난으로 인해 골드바 판매를 일시 중단했고 조폐공사에서 금을 조달하는 은행들 또한 판매를 중단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중국과 인도의 금 수요 증가가 가격 상승에 추가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중국 인민은행이 금 매입을 재개하였고, 4억명이 넘는 중산층이 있는 인도의 금 매수 수요가 중국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산업적 수요 증가

금은 은이나 구리처럼 산업재로 사용되지 않고, 순수한 부의 저장 수단으로 기능합니다. 무역전쟁 및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금은 다른 금속류 대비 영향을 덜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반응형

댓글